우리가 그려온 미래: 한국현대건축 100년
p16
인사말, 전봉희
p18
소개글, 강예린
p.22
1920-1950 학습과 모방
전라남도 도청 회의실 신축설계도, 이상의 그림과 시, 보성전문학교 본관, 보화각, 경교, 수원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교사와 강당, 건축용어집, 서강대학교 본관, 우남회관
p.56
1960-1970 팽창과 모색
명동 성모병원, 주한프랑스대사관, 장충체육관, 새로운 주택, 조흥은행 본점, 서울타워,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과 행정관, 공릉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과학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외환은행 본점
p.102
1980 개방과 탐구
홍대 앞 우리마당 연작, 문예진흥원 문예회관, 서울대학교 박물관, 힐튼호텔,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독립기념관, 조선일보 신사옥, 예술의 전당, 국립국악원, 올림픽선수기자촌아파트
p.162
1990 건축가와 사회
샘터화랑, 한겨레신문사, 성략침례교회, 수졸당, 분당 신도시 주택 설계 전시회, 포스코센터, 서울대학교 신공학관, 신도리코 본사 및 서울공장
p.212
2000 논리와 감각
서귀포월드컵 경기장, 김종영미술관, 밀레니엄 커뮤니티센터, 서울대학교 이공계 멀티미디어 강의동, 이우중고등학교, 고막원, 전통한옥 호텔 라궁, 가회헌, 서울대학교 39동 대학원연구동, 행정중심복합도시 마스터플랜, 남산한옥마을 전통국악공연장, 한유그룹사옥, 탄허대종사 기념박물관, 반포효성빌딩, 아름지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서울대학교 버들골 풍산마당, ZWKM block, 기억의 사원, 인천국제공항 3단계 제2여객터미널, 남산 회현자락 한양도성 현장유적박물관
p.332
2000년대 중반. 건축 교육과 제도의 개편 이후
p.376
포럼 발표 원고
한국 현대건축의 시점과 획기(전봉희),
고층으로의 갈망: 1950년대의 시대적 요구(박일향),
발전-국민-국가와 건축(박정현),
연속/불연속: 20세기 한국건축의 마지막 20년(최원준),
한국적 모더니즘과 진화의 현장(임진영)
p.436
포럼 토론 원고
1950년대 이전(박동민),
1960-1970년대(이종우),
1980-1990년대(김현섭),
2000년대 이후(임동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