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itecture &
Architectur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itecture &
Architectural Engineering
Back
SNU DAAE

민승제

Seungje Min

  

길거리를 지나가다가 포장마차에서 파는 오뎅을 드셔 본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저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걷다가 마주치면 가볍게 먹을 수 있는 오뎅과 같이 가벼운 설계를 하였습니다.
 
이번 전시의 주제인 자유 중 저에게 가장 우선시되는 자유는 시간의 자유였습니다. 그렇기에 예정된 변화가 많은 당산역을 사이트로 설정하였습니다. 당산역은 수도권 서부의 환승을 담당하고 있는 지역입니다. 광역 교통의 중심지라는 위상에도 불구하고 상업 시설은 대로변에만 존재하여 지역이 가지고 있는 잠재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당산역을 단지 갈아타는 공간을 넘어 사람들을 활발히 활동하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서 저는 환승의 경험과 시간에 집중해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당산역 인근에는 5개의 버스정류장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서로 다른 교통수단으로 환승하는데에는 약 5분정도의 찰나의 시간과 수직적 움직임을 필수적으로 수반합니다. 저의 프로젝트는 이 시간들과 활동들을 담을 수 있는 가변적 설계를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이런 가변적 설계에서 저의 초기 의도가 시간이 지나서도 게속 유지될 수 있도록 건축 전체를 관장하는 시스템을 먼저 만들었고, 이 시스템이 환승 경험의 활동들을 포함할 수 있는 합리적인 근거를 가질 수 있도록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환승을 통해 주변으로 사람들의 움직임을 만들고 기억을 담을 수 있게 만들고자 하였습니다.
 
그런 시스템 위에서 어떤 프로그램이 들어가야 하는지 또 그런 프로그램이 실제로 시스템 안에서 어떤 영역을 차지하고, 어떻게 배치되어야 할지를 고민하는 과정 역시 진행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운영 방식에 대한 고민 역시 진행하여 설계가 현실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You might have had an experience of trying odeng (Korean fishcake) sold from a food cart while walking down the street. In this project, I’ve designed with a light touch, similar to the idea of casually enjoying odeng on your stroll.
 
In this exhibition, the aspect of freedom that I prioritized the most was the freedom of time. Hence, I set Dangsan Station, which is subject to many planned changes, as the site of my project. Dangsan Station is in charge of transfers in the western part of the metropolitan area. Despite its status as a hub of metropolitan transportation, the commercial place exist only along the main road, so the potential of the area is not fully utilized.
 
To turn Dangsan Station from merely a transfer point into a space where people actively engage, I focused on the experience of transfers and the concept of time while carrying out the project.
 
There are five bus stops near Dangsan Station, and it takes about five minutes and involves vertical movement to transfer between different modes of transportation. My project aimed to design a flexible space capable of containing these moments and activities.
 
In this flexible design, I first created a system that oversees the entire architecture to ensure that my initial intentions persist over time. I made sure that this system could provide a rational basis for including the activities involved in the transfer experience. I also wanted to create and capture movement and memories in the surrounding area through the transfer experience.
 
On top of this system, I went through a process of pondering what kind of program should be included, what area such a program should occupy within the system, and how it should be arranged. I also contemplated the operational aspects, ensuring that the design could be realistically implemented.

consequat. commodo elit. Aenean id Phasellus quis, eget tristique amet, felis el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