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itecture &
Architectur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itecture &
Architectural Engineering
Back
SNU DAAE

안진용, 김찬호

Ahn Jinyong, Kim Chanho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공원의 방향성-반포 한강 공원을 중심으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하여 사회가 맞이한 변화에 따라 사람들의 공간에 대한 인식도 변화하고 있다. 각종 여가 활동의 제약이 걸린 상황에서, 공원은 야외 활동 공간이자 사회적 교류의 장으로써 격리로 인한 우울감을 해소해주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원의 중요도는 더욱 부각되지만, 완전히 개방된 공간인 공원은 이용객들 간의 지나친 접촉을 제어할 수단이 없다. 또한 코로나로 인하여 달라진 사람들의 행동 양식과 공간 인식은 공원이라는 개방된 공간 안에서도 개인적인 공간을 요구하게 되었다. 향후 코로나 사태와 같은 사고가 재발하거나 다양한 사건이 발생했을 때, 공원은 다양한 형태로 방문객들에게 여러가지 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다양한 형태를 오가는 키네틱 파빌리온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Due to the coronavirus, people's perception of space is also changing as society changes. At a time when various leisure activities are restricted, the park is an outdoor activity space and a place for social exchange, relieving depression caused by isolation. In this situation, the importance of the park is highlighted, but the park, a fully open space, has no means of controlling excessive contact between users. Also, people's behavior and spatial awareness changed due to the corona required a personal space in the open space of the park. In the event of a recurrence of an accident, such as the corona crisis, or various events, the park should be able to provide visitors with various spaces in various forms. As an alternative to this problem, we would like to propose a kinetic pavilion that travels in and out of various forms.

in pulvinar Praesent libero mattis at accums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