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itecture &
Architectur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itecture &
Architectural Engineering
Back
SNU DAAE

안도훈

Ahn Dohoon

담당교수: 이규상 LEE KUSANG    Tutor: 이규상 LEE KUSANG

경계에 선 사람의 시간, 경계를 허문 학교의 공간

Continuing present of People, Cities, and Schools.

 

[사람]의 시간은 (취업, 결혼, 부의 축적 등 거의 모든 것에 대해) 사회가 정해 놓은 ‘타임라인’에 의해 파편화되고, 우리는 시간에 얽매여 진실로 현재에 있지 못한다. 이에 사람들은 ‘배움’과 ‘노동’을 통해 정신적, 물질적으로 미래를 준비하고, 불안을 해소한다. [도시] 서울은 ‘불균형’하다. 거대한 산은 많지만, 일상의 ‘생활권 녹지’는 적고, 지역에 활기를 불어넣을 ‘빈 공간’은 대부분 닫힌 공간(학교 운동장, 아파트 단지 등)이다. [학교]는 급격한 인구 변화로 재편이 시급한데, 서울 곳곳에 균질하게 분포해 있어 도시 전체의 변화를 이끌 수 있는 훌륭한 거점이 된다. 게다가 학교의 넓은 면적, 획일적인 형태와 구조는 ‘일반해’를 찾는 건축 실험에 유리한 조건이다. 장충초등학교는 청구역에 신기할 정도로 밀집한 세 초등학교 중 하나로, 거리나 영역을 기준으로 학교가 재편되는 미래 상황을 가정한 것이고, 현재의 학교 일반을 대표할 만한 학교라 판단해 사이트로 선정하였다.

 

나는 [사람, 도시, 학교]의 ‘지속가능한 현재’를 만들어내기 위해, 동네와 단절된 아이들만의 학교를 지역민 모두에게 배움과 노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활기찬 ‘녹색’ 커뮤니티로 바꾸는 점진적 변화를 제안한다. 담을 허물고, 기존의 구조와 매스를 비워내고, 새로운 판을 덧대어 (필로티, 발코니 등) 다층적인 외부공간을 만들고, 주변의 지형과 괴리된 채 평탄화 된 땅의 경계에는 깊이를 더해 사이트 내외부를 잇는 몇 개의 진입마당을 만들어준다. 진입마당으로부터 이어지는 저층부(1,2층)의 내부 공간은 목공, 미술, 요리 등 지역 작가들의 공방과 그곳에서 지역민 수업이 이루어지는, ‘배움터’와 커뮤니티 공간이 되고, 고층부와 외부공간, 옥상은 (스마트팜, 온실, 텃밭, 도시농업교육시설 등) 도시농업 공간으로, 사람들이 직접 회색 도시를 푸르게 바꾸는 ‘푸른 일터’가 된다.

[People]’s life is fragmented by social ‘timelines’ (about almost everything; a career, marriage, wealth, etc.), and constrained by the time, we cannot be ‘truly present’. The uncertain future makes people ‘work’ and ‘learn’, to be prepared and relieve anxiety. Meanwhile, Seoul is a [city] very ‘unbalanced’. There are big mountains, but not many green spaces that are daily-approachable. Voids (most of which are school playgrounds or outside space of apartment complex) are dead/closed, impossible to be actively occupied by various groups of people. Public [schools] are in urgent need of reform/reorganization due to the drastic change of population structure, but, at the same time, can be great bases for overall transition because they are so evenly distributed in the city. Plus, schools have large area, standardized form and structure that gives an advantage to an architectural experiment to find a general solution for the city. Jangchoong Elementary school is one of the three elementary schools that are surprisingly gathered around Cheongu subway station. We can assume a future that schools are reorganized by distance or zone, and I decided that it is the best representation of current schools among the three.

 

To provide a ‘sustainable present’ for [people, cities, and schools], I propose to gradually redirect public schools to vibrant green communities open to the locals, creating opportunities of learning and working. Multi-layered outdoor spaces were created by emptying out existing structure and mass (converting to pilotis, balconies), and entrance yards with new depth are made on the different levels of the borders. Lower floors become learning ground where the locals can take classes in studios of local artists, cooks, carpentors, and so on. Higher floors, outdoor spaces, and rooftop becomes green working ground where people can keep on living and change the city greener by their own hands.

vel, mattis Donec elit. non 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