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우수상]
내포된 허구
서울 경희궁 일대는 역사와 허구가 극명하게 충돌하는 지역이다. 이곳에는 20년 전 복원된 궁궐, 일제강점기 지어진 방공호, 궁궐의 축선상에 지어진 서울역사박물관이 위치한다. 리쾨르에 의하면 역사와 허구는 이야기로 구성되기에 구조적으로 동일하다. 그렇다면 건축은 역사와 허구를 교차시키며 이야기를 생산해낼 힘을 갖는다. 이 프로젝트는 경희궁지에 들어설 개방형 수장고를 제안한다. 지금까지 금단의 영역에 속하던 수장고는 공공에 개방되며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수장고들의 형식은 허구적이다. 수장 공간들은 도서관, 키오스크, 창고, 사일로의 형식을 띠는데 이러한 허구적인 형식들은 유물을 보관하고 경험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해낸다. 수장 공간들은 지하를 가득 채운 기둥 체계에 포함되는데 기둥들의 배치는 과거 경희궁의 배치에 따른 것이다. 이를 통해 역사는 허구적 형식 속에, 허구적 형식은 다시 역사적 형식 속에 담기는 이중의 의미 구조가 완성된다. 동시에 지하와 지상을 연결하는 두 개의 계단을 통해 궁궐은 개방형 수장고의 일부로 편입된다. 서울역사박물관-개방형 수장고-경희궁-방공호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궁궐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대신 도시 속에 내포되어 보다 적극적으로 주변과 관계를 형성한다.
프로젝트 상세 설명
nestedfictions.work
[1st Prize]
Nested Fictions
Gyeonghuigung Palace in Seoul is a conflicting ground where fiction and history collide. It is where 20-year old restored palace, air-raid shelter from WWII, and a history museum that sits on the very ruins of the palace are located. In light of the assertion that fiction and history are structurally identical because they are made of narratives (P. Ricoeur), architecture interweaves the two to unleash stories and interpretations. This project proposes a visible storage for museums where artifacts hitherto kept secret are revealed to the public. Forms of fiction, including library, kiosk, warehouse and silos store and display artifacts in an unprecedented method. The column system in the underground is derived from the footprint of the palace, completing the double semantic structure where forms of fiction that nest historical artifacts are nested in forms of history. Two staircases that rise from the underground nest the palace into the circulation system. The museum, the air-raid shelter, the palace, and the visible storage are integrated into one compound, and the palace is no more a solitary island but a part of the urban fabric.
For more information, visit
nestedfictions.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