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rminal of Seoul
건축은 경계를 만드는 행위이다. 경계는 소통과 충돌이 발생하는 장소이며 경험의 변화가 일어나는 곳이다. 버스 터미널은 그 자체로 도시와 도시의 경계이다. 그러나 동서울터미널은 도시의 경계역할을 적절히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올림픽 대교를 건너며 느낀 ‘서울에 왔음’을 동서울터미널에선 느낄 수 없다. 또한 동서울터미널 주변엔 버스 환승 센터, 지하철역,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있다. 이들은 상호작용하지 못하고 배타적인 경계를 형성해 서로를 인지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과거 한강의 모습을 지니고 있는 옥상 해변, 하차장의 물그림자, 다양한 액티비티와 공원과 같은 한강의 조각들을 터미널에 이식해 도시 경계로써 터미널의 경험을 강화하고 다양한 교통시설과 주거 사이의 경계를 새로이 정의하고자 했다.
Terminal of Seoul
Architecture is making boundaries. Boundaries are places where communication and conflict occur and where the change of experience takes. The bus terminal itself is the boundary between the city and the city. However, Dong Seoul Terminal has not been able to properly fulfill its role as city’s boundary. People can feel “Arrived at Seoul” when crossing the Olympic Bridge. But people can’t feel “Arrived at Seoul” at the Dong Seoul Terminal. And there are bus transfer center, subway station and apartment complexes around the Dong Seoul Terminal. They have been making exclusive boundaries without interaction, making it difficult to recognize each other. Through the transplantation of the pieces of Han River such as rooftop beach which resembles the image of the past Han River, water shadow, various activities and park, the experience of the terminal as the boundary of the city will be enhanced and the boundaries between various transportation facilities and housing will be newly def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