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itecture &
Architectur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itecture &
Architectural Engineering
SNU DAAE
SNU DAAE Archive SNU Architectural Review
SNU DAAE
Back

SNU Architectural Review
2019

2019
건축설계스튜디오 5-1

도시의 혼성계

담당교수
참여학생

김동현, 김아영, 김창용, 김하늘, 문서령, 박상준, 박재성, 배지민, 변서영, 서은섭, 송유정, 신윤정, 안종규, 채민기, 이승헌, 이재진, 이재헌, 장인호, 지수빈, 전지용, 정성주, 정지문, 정지수, 조율, 최성환, 최수연, 황준선, 홍수와, 황진영, 조원섭

도시의 혼성계. '도시'란 거대한 규모로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이 아니라, 친숙하게 체험하는 공간 전체이다. 도시는 사람과 차라는 흐름과 이를 유도하는 길과 땅, 중요한 인식의 결절점인 장소 등으로 이루어진 이질적인 집합이다. 이 단계에서는 이러한 도시적 현상을 면밀하게 관찰하면서, 건축물을 만들어야 하는 근거를 '도시'의 여러 현상에서 찾고, 그 현상을 활성화하는 건축을 우리는 어떻게 지을 수 있는가를 탐구한다. 이를 위해 도시의 복수 지구 또는 상당한 규모의 대규모 복합시설을 설계한다. 시설내용은 업무, 상업, 주거, 대공간을 합한 홍성계를 다룬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도시적 스케일을 가지며, 복수의 테마를 탐구한다. 또한 공간, 구성, 구조, 형태 등에 대해 여러가지 다양한 테마를 제시하고, 이 복수의 테마를 혼성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2019
건축공학시스템설계

건축설계의 공학적 접근방법

담당교수

강현구, 여명석

참여학생

고성민, 배창준, 황동현, 고주형, 이강욱, 박동성, 김견휘, 이서영, 김명준, 오재원, 최영식, 노우혁, 박시영, 윤성부, 류이현, 이동민, 이정언, 박철홍, 이유상, 한용희, 오재한, 이상민, 조덕현, 유성호, 유희석, 조형곤

건축물 설계의 요구조건의 설정, 설계대안, 설계표현, 그리고 체계적인 설계과정을 통해 건축설계와 전문가의 표현수단에 필요한 공학적인 접근방법을 강의한다. 건축설계와 공학의 종합적인 판단능력의 배양을 목적으로 하며, 개인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발표 및 효과적인 의사전달을 할 수 있도록 훈련한다. 이 강의는 학생의 종합적인 사고와 창의성이 요구되며, 저학년 동안에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건축공학 및 건축설계의 기초소양을 요구한다.

2019
건축설계스튜디오 5-2

건축과 도시, 기술과 환경

담당교수

조항만, 이은경, 전보림

참여학생

김동현, 김지우, 김하늘, 배지민, 신윤정, 안종규, 이재진, 전봉훈, 정성주, 조원섭, 황준선

건축과 도시, 기술과 환경에 대한 자신의 해석을 바탕으로 한 독립적이며 설계를 통한 건축가로서 가져야 할 종합적이며 실천적인 작품을 제작한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수강자 개인이 독자적으로 설정한 주제를 구체화한다. 실제 건축설계산업에서 행해지고 있는 전체적인 건축 디자인 프로세스를 익히고 설계의 모든 단계에 필요한 요소들은 통합하여 종합적으로 설계안을 발전시킨다. 또한 장애자를 위한 계획, 방재계획 등을 수립하고 프로젝트 발표를 위해 필요한 보고서와 도면을 적절히 작성하고 준비한다. 빌딩시스템, 구축방식도 적절히 선정하여 계획안을 발전시킨다. 그 다음,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을 통해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고 구체적인 건축 설계안에 통합한다. 각 단계별 심사와 발표를 위해 발표할 수 있는 훈련을 한다.

2019
건축설계스튜디오 4-1

거주와 집합

담당교수

김승회, 존홍, 강예린

참여학생

공리현, 송정우, 이건휘, 이승재, 이주형, 이준호, 임하은, 최진주, 현하영

거주와 집합. 건축설계를 위한 프로그램을 공간적으로 해석하고, 그 시설을 이용하거나 사는 사람들의 이미지를 도출하여 설계하는 방식을 연습한다. 이를 위해 도심에 있는데도 실제로는 살기에 적합하지 못한 창고로 둘러싸인 공업지대의 대지와 같이, 대지주변의 물리적이며 심리적인 관계를 해석한다. 또한 그 장소에 사는 사람들의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상정하며, 사람들이 모여사는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여, 프로그램의 해석에서 공간으로 이전하는 과정과, 대지가 지니고 있는 문맥을 갱신하는 논리를 연습한다. 후반부에는 도시를 구성하는 가구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에 대하여 '한옥'과 그 주변을 둘러싼 근현대 주거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적 도시주거공간을 탐구하고, 나아가 근미래의 한국형 도시주거형식을 연구한다.

2019
건축설계스튜디오 4-2

환경의 대응

담당교수

존홍, 강예린, 서현

참여학생

권재희, 김수연, 김유진, 김종현, 김채린, 박영록, 박제현, 박지혜, 변서영, 이건휘, 이정은, 이주형, 임하은, 장가현, 한겨레, 현하영

환경의 대응. 이 단계는 세가지로 이루어진다. 첫 단계는 열, 공기, 빛 등의 자연환경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방식을 적극적으로 도입한 생태학적 건축을 설계한다. 두번째 단계는 오픈 스페이스와 녹지 공간을 중심으로 한 건축의 외부공간에서 다루어야할 환경의 문제를 연습한다. 세번째 단계는 도시풍결에 대한 방식인 랜드스케이프 아키텍취를 연구한다.

2019
건축설계스튜디오 3-1

프로그램의 해석

담당교수

김현철, Pereira Godinho Laurent, 최춘웅

참여학생

김정우, 남정우, 신미소, 이지수, 장유진, 허

프로그램의 해석. 인간의 행위와 시설에는 그 시대와 사용자에 의한 독특한 프로그램의 해석과 관련이 있다. 특히 근대 이후에 이루어진 건축물의 프로그램을 재해석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인간의 행위의 인접과 분리, 다른 요소의 개입을 통해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용도를 결합하여 더 큰 전체를 완성해가는 설계방식을 탐구한다. 이에는 면적과 기능 관계를 실제의 법규의 제약 조건을 따르면서, 동시에 이 공공건물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공동체 의식을 고양하기 위한 지역의 인문적 조건에 주목하면서 소규모의 공공공간을 제작한다. 후반부에서는 학교나 도서관과 같은 공공시설이 제도적인 측면에서 근대 이후 어떻게 해석되어 왔으며, 공간의 배열은 제도를 포함한다는 전체에서 시설 또는 제도에 대한 비판을 통해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공간의 배열을 가진 건축을 생각한다.

2019
건축설계스튜디오 3-2

행위와 공간

담당교수

김현철, Pereira Godinho Laurent, 최춘웅

참여학생

강해성, 김대홍, 김예진, 김유진, 김주영, 박종호, 신률명, 유지선, 이선이, 이자윤, 장유진, 황준호

행위와 공간. 이 단게에서는 개별적인 개인의 행위의 집합인 집단 행위에 대응하는 공간의 구성을 연습한다. 각 개인은 제각기 의지를 가지고 공간 속에서 행위를 연속시키는 것이다. 집중하는 행위, 행위에 대한 명확하지 못한 공간적, 시간적인 경계, 공간의 유동화처럼 공간의 개념을 순수하게 인간행위의 분포에 주목함으로써 다양한 사건과 행위가 동시에 있는 것을 허용하고 이것이 만들어내는 공간을 설계한다. 이에 따라 외부와 내부의 경계, 연속성, 가구, 공간의 불균질성, 건축 속의 빈 장소, 시간, 공존하는 공간, 사람의 집합이 만들어내는 장면 등, 다양한 건축적, 도시적 공간의 느슨한 구성을 습득한다.

2019
기초스튜디오 3

디자인/엔지니어링

담당교수

국현아, 김대일, 박증혜, 박현철, 이경재, 존홍

참여학생

김성진, 김유진, 김지훈, 문주현, 박세준, 박신우, 박영조, 박준민, 심영주, 안종훈, 양나연, 이인희, 이수민, 이해기, 조동현, 조성해, 최현준

디자인/엔지니어링 교육과정의 핵심이 되는 본 스튜디오는 건축과 환경의 관계성에 초점을 맞춘다. House + Creative Studios 프로그램을 통해 가법적이 아닌
포괄적인 접근법으로 건축적 지속가능성을 탐구한다. 학생들은 여러 디지털 모델링 툴을 응용하여, 각각의 디자인 단계(Massing, Envelope, and Interiors)에서 건축적 효과와 공학적 기능의 결합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소재의 두께, 개구(:.), 아티큘레이션, 순서 배열 등을 태양 입사각, 패시브 기법, 통풍, 채광, 음향 등에 연관 짓는 것이다. 즉, 이후 단계에서만 가능했던 공학적 계산과 피트백에 의지하지 않고, 디자인 단계에서 죽각적인 개선을 돕는 디지털 둘을 사용해 종합적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이번 학기 종국의 교육 목표는 구획 설정 필지 디자인, 재현 기술, 이론 수립, 건축과 공학적 개념의 통합, 그리고 디지털 물의 사용법을 익히는 데 있다.

2019
기초스튜디오 4

가상의 구축(Virtual Construction)과 실제의 구축 (Actual Construction)

담당교수

김진휴, 박증혜, 이경재, 임종훈 조항만, 황승환

참여학생

강나무, 강태영, 권상오, 김도현, 김리나, 김성진, 김유진, 김지훈, 김현호, 문주현, 박성호, 박신우, 박영조, 박준민, 손종우, 안정원, 양진영, 유상엽, 이수민, 이수민, 이인희, 이재원, 이주연, 이태양, 이해기, 이현정, 조동현, 조성해, 최성현, 최하연, 최현준, 허지원, 홍채원

이 과목은 가상의 구축(Virtual Construction)과 실제의 구축 (Actual Construction)이 서로 상호보완 및 작용하고 있는 현대의 건축 설계 방법의 변화 양상에 대한 이해와 탐구를 바탕으로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디자인 테크놀로지에 대한 기초적 지식과 원리를 습득하고 기존의 전통적인 건축 설계 방식에서부터 새로운 설계의 방식으로의 전환과 그 원인 및 가능성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와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 스튜디오는 학생들로 하여금 구상하고 설계하는 건축공간이 가상의 디지털 공간에서 잉태되고 현실에서 실제로 생산 구축되어지는 건축의 매브리케이션 프로세스까지 고려하여 디자인되도록 함으로써 건축 공간의 설계 및 완성뿐만 아니라 실제 공간의 생성이 고려되어야 할 재료, 구조 구법 구축의 방법까지 익혀 설계에서부터 시공까지의 건축이 동시적이며 전일적으로 이루어지는 건축공간생성 및 생산 전체 과정의 새로운 개념과 방식을 체험하도록 한다.

2019
기초스튜디오 1

공간적 상상력/건축적 창의력/사물의 전이/변용

담당교수

강예린, 김대일, 김지하, 김한중, 문주호, 이다미, 임종훈

참여학생

고정원, 김도현, 김성혁, 김세린, 김시온, 김영채, 김예원, 김재헌, 김시언, 신준규, 안우진, 유경빈, 이유진, 이은학, 이채영, 재욱, 정유진, 천현성, 홍승은

건축은 특정한 언어를 통해 기록이 되고, 설계가 되며, 건축적 상상력과 분석력 또한 건축의 고유한 표현기법을 활용한 글과 그림을 통해 생성되고 공유된다. 본 수업은 전통적인 스튜디오 체계에 맞춰 순차적으로 전개되는 설계과제들을 중심으로, 각 학생의 분석, 창작, 표현, 활동이 대화와 토론을 통해 발견되고 진행된다. 직각/평행 투영, 추상적/ 구축적 모형, 실체/가상 미디어를 아우르는 건축의 기초 표현기법을 습득하고 언어와 그림을 통해 특정한 건축적 사고가 가능해 지는 것을 인지하며 적합한 기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본 수업의 목표라고 할 수 있다. 본 수업의 진행 방식은 다음과 같다: 공간적 상상력: 공간을 기획하는 기본 요소로서 비율, 빛, 그리고 신체와의 관계 등을 통해 눈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건축적 가능성들을 상상하고 표현하는 능력 배양 건축적 창의력: 장소/환경과의 대화, 그리고 사물의 전이(translation)/ 이화(defamiliarization)/ 변용(transformation) 방식을 수단으로 건축적 개념 창출과 의미 생성 방식을 습득 다양한 표현기법, 시각적 언어의 이해 능력, 그리고 이미지 표출 기법을 바탕으로 물질/사물을 해석하고, 건축적 의미를 생성하며, 구성/생산/제작의 논리를 수립하는 과정을 경험한다.

2019
기초스튜디오 2

한강

담당교수

강예린, 김지하, 김한중, 문주호, 이다미, 황승환

참여학생

강지우, 고정원, 곽노경, 권익현, 김도현, 김명준, 김성혁, 김영채, 김예원, 김재헌, 김진홍, 김형석, 박경민, 박시형, 설민식, 송기은, 송준혁, 신준규, 안우진, 유경빈, 이상휘, 이시은, 이영재, 이은학, 이화주, 이효배, 장동혁, 신재욱, 정유진, 조경진, 천현성, 홍승은

한강을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유희의 공간을 디자인한다. 휴식, 낚시, 캠핑, 경치의 전망 등 한강공원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유희의 행위들을 관찰하고, 각자가 해석하고 정외하는 유희에 맞춤하는 공간을 제안한다. 또한 이 공간에 걸맞은 구축의 방식과 구조에 대해서 함께 고안한다. 유희의 행위를 모티브로 하는 구조 또는 유희 행위에 합당한 구조의 방식을 고민하고, 한강에 있는 여러 가지 유형의 기반시설(infrastructure)을 활용해서 구축한다. 한강의 기반시설에는 고수부지 중수부지 저수부지와 같은 콘크리트의 대지와 사면, 반포대교 교각, 잠수교의 바닥과 교각, 새빛등등섬, 이벤트파골라, 벤치, 보행교 등과 같이 인공인 요소도 있고, 자연적인 요소도 있다. 이 공원 기반시설에 개입 활용 보완 할 수 있는 유희의 공간을 디자인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유회하는 공간은 보고 관찰하고 전망하는 공간 "그늘 아래 낮잠 자는 공간, '한강에 부유하는 공간'이라는 세 가지 짧은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이 중에서 한 가지를 선택해서, 메인 프로젝트로 마무리한다. 프로젝트는 각각 해당 유희에 적절한 치수와 스케일 등이 고민되어야 하며 여기에 맞춰서 구조적인 부재들에 대한 고민이 이어져야한다. 또한 유희의 공간은 혼자 서있거나, 기반시설에 매달리거나 기대거나 하는 방식에 대한 구조적인 탐구가 있어야 하며 이것이 건축이 형태로 이어지는 과정을 이해하도록 한다.

2019
대학원과정 졸업논문 석사/박사

대학원과정 졸업 논문

담당교수
참여학생

강승재, 김성하, 김수빈, 김예슬, 김지현, 남정훈, 박상연, 비앙카 엘레나, 성민제, 안소현, 왕흠, 염수, 염준혁, 이금령, 이승호, 이승후, 이해빈, 장성수, 장진욱, 조용현, 조윤호, 주은지, 최석희, 최윤하, 최하늘, 파벨, 허은석 / 김대경, 김민수, 김수영, 문효수, 박소람, 박은주, 박일향, 배창현, 이상진, 임진우, 정태종, 조아서, 최성필, 최준호, 한규빈, 현호상

fringilla Donec elementum eget sit sed mattis id, porta. vel, luctus